Size: 561
Comment:
|
Size: 1887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11: | Line 11: |
이 책에서 다루는 텍스트는 아래와 같은 세 권이다. | 이 책에서 다루는 텍스트는 아래와 같은 네 권이다. |
Line 14: | Line 14: |
*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 |
Line 18: | Line 19: |
= 서문. 숙였던 고개를 들고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는 것 = = 1부. 아포리아 시대의 기록 - '역사',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국가', '키루스의 교육' = == 1. 아포리아 시대의 인문학, 군주의 거울 == == 2. 리더의 자질이 없는 자는 척박한 땅에 만족하라 - 헤로도토스의 '역사' == == 3. 반복되는 역사 속에 드러나는 인간의 본성 -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 == 4. 철학으로 아포리아에 맞선 스승과 제자 - 플라톤의 '국가' == == 5. 그리스의 마지막 군주의 거울 - 크세노폰의 '키루스의 교육' == = 2부. 아포리아 시대, 리더의 공부 - '키루스의 교육' = == 1. 정의의 수호자가 돼라 == == 2. 세월의 변화를 직시하라 == == 3. 불확실성에 의존하지 마라 == == 4. 스스로 고난을 함께 나누라 == == 5. 군주다움을 끝까지 지켜라 == == 6. 군주의 아내도 군주다 == == 7. 사람들은 군주의 뒷모습을 본다 == == 8. 승리의 방식 == == 9. 인간의 본성을 직시하라 == == 10. 레거시를 남겨라 == == 11. 초심을 잃지 마라 == == 12. 제국은 사람이다 == ---- |
김상근, "군주의 거울, 키루스의 교육"
갈 길을 잃은 아포리아 시대에는 진정한 리더가 필요하다.
유럽에서 지도자 교육을 위해 사용하던 텍스트가 있는데, "군주의 거울"이라고 불렀다.
군주의 거울은 시대마다 조금씩 바뀌었다.
이 책에서 다루는 텍스트는 아래와 같은 네 권이다.
- 헤로도토스의 "역사"
-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 플라톤의 "국가"
- 크세노폰의 "키루스의 교육"
서문. 숙였던 고개를 들고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는 것
1부. 아포리아 시대의 기록 - '역사',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국가', '키루스의 교육'
1. 아포리아 시대의 인문학, 군주의 거울
2. 리더의 자질이 없는 자는 척박한 땅에 만족하라 - 헤로도토스의 '역사'
3. 반복되는 역사 속에 드러나는 인간의 본성 -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4. 철학으로 아포리아에 맞선 스승과 제자 - 플라톤의 '국가'
5. 그리스의 마지막 군주의 거울 - 크세노폰의 '키루스의 교육'
2부. 아포리아 시대, 리더의 공부 - '키루스의 교육'
1. 정의의 수호자가 돼라
2. 세월의 변화를 직시하라
3. 불확실성에 의존하지 마라
4. 스스로 고난을 함께 나누라
5. 군주다움을 끝까지 지켜라
6. 군주의 아내도 군주다
7. 사람들은 군주의 뒷모습을 본다
8. 승리의 방식
9. 인간의 본성을 직시하라
10. 레거시를 남겨라
11. 초심을 잃지 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