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3850
Comment:
|
Size: 4202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44: | Line 44: |
30년 커리어패스 9가지 기술 | |
Line 45: | Line 46: |
* 엔지니어링 역량 * 개발에 대한 기본 지식 * 제품에 대한 이해 * 개발 주기 지식 * 매니지먼트 역량 * 프로젝트 관리 * 팀 관리 * 프로세스 관리 * 비즈니스 역량 * 인사 시스템 * 사업 관리 * 비전과 조직 문화 |
박종천, 개발자로 살아남기
프롤로그: 개발자 30년을 넘어서
성장하는 개발자 30년을 생각하다
1993년 한컴 -> 블리자드 -> 넥슨 ->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 몰로코
저는 코딩에만 집중하는 '100세 코딩'보다는 성장하는 '30년 커리어패스'를 개발자님께 제안드립니다.
- 처음 10년은 실력을 쌓으며 성장하는 시기
- 다음 10년은 다른 개발자를 리딩하며 일하는 시기
- 마지막 10년은 한발 물러서서 사람들을 돕고 서포트하는 시기입니다.
마지막 10년에는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예를 들어 기술 리더십을 사업 리더십까지 확장해서 디렉터, VP, CTO 같은 임원이 될 수도 있겠지요.
실리콘밸리의 커리어패스로 알아보는 개발 30년
실리콘밸리 대부분의 회사는 개발자를 아래와 같이 구분합니다.
- 성장하는 10년
- 어시스턴트 개발자
- 어소시에이트 개발자
- 미드 레벨 개발자
- 리딩하면서 일하는 10년
- 시니어 개발자
- 리드 개발자
- 프린시펄 개발자
- 서포트하는 10년 (경영과 사업의 10년)
- 디렉터
- VP of Engineering
- CTO
블리자드에서는 시니어 이후 레벨의 개발자를 리드 개발자, 프린시펄 개발자라고 불렀습니다.
리드 개발자가 되려면 미지의 영역을 해결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블리자드에서는 아는 일을 잘하는 능력보다 모르는 일도 분석해서 끝까지 처리하는 능력, 그래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맡을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리드 개발자로 승진합니다. 리드 개발자 승진 평가에는 심지어 다른 팀의 디렉터들까지 참여합니다. 회사 전체에 영향력이 퍼져 있을 정도로 많은 일을 하고 있어야지만 리드 개발자가 되는 것이죠.
반면에 프린시펄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진정한 구루여야 합니다. 프로젝트의 개발을 리딩한다기보다는 정말 깊게 기술을 연구해서 회사에서 인정받는 기술 전문가여야 합니다.
그 다음은 디렉터입니다. 경력 20년이 넘어가는 위치입니다. 이제부터는 책임의 영역입니다. 저는 농담으로 디렉터를 정의하며 이런 표현을 씁니다. "모든 일을 할 수는 있지만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대신 모든 일에 책임지는 사람"이라고요. 단순히 일을 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책임질 줄 알아야 하는 사람입니다. 그러려면 모든 것을 파악하고 옳은 결정을 빠르게 내릴 수 있어야 합니다.
디렉터 위로는 VP of Engineering이나 CTO가 있습니다. 이 둘은 사실상 경영과 사업 영역에 속합니다. 개발과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에 기여하는 모든 일을 책임집니다. 당연히 개발은 개발자들이 하는 것이므로 좋은 개발자들의 채용과 교육 그리고 개발 문화까지도 챙겨야 하며, 개발 프로세스도 잘 정립해야 합니다.
30년 커리어패스 9가지 기술
- 엔지니어링 역량
- 개발에 대한 기본 지식
- 제품에 대한 이해
- 개발 주기 지식
- 매니지먼트 역량
- 프로젝트 관리
- 팀 관리
- 프로세스 관리
- 비즈니스 역량
- 인사 시스템
- 사업 관리
- 비전과 조직 문화
Part 1. 엔지니어링 역량
01. 개발자의 소양
02. 고객이 원하는 제품 디자인
03. 30년간 실천할 개발 주기
Part 2. 매니지먼트 역랑
04. 성공을 이끄는 프로젝트 리드
05. 기술 주도 테크니컬 리드
06. 행복을 만드는 피플 매니저
07. 프로세스 바로 세우기
Part 3. 비즈니스 역량
08. 잘 뽑고 잘 들어가기
09. 돈 되는 사업 만들기
10. 비전을 공유하는 조직 문화 만들기
Part 4. 개발자로 살아남기 30년
11. 시간 관리 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