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ze: 2847
Comment:
|
Size: 167
Comment:
|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
Line 1: | Line 1: |
Describe 육아 here. | #acl +All:read |
Line 3: | Line 3: |
= 아이 마음 알아가기 = | * [[출산/분만]] * [[/아이들에게 가르칠 것]] * [[/신혜원 집사님 강의]] |
Line 5: | Line 7: |
강사 : 신혜원 집사 | ---- |
Line 7: | Line 9: |
== 1강 : 싫어... 아니야... 아이의 분노와 짜증 == '''부모는 아이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지 아이를 전적으로 책임질 수 있는 사람이 아니다. - 집사님 관점''' 양육방식은 각자가 다를 수 있다. 관점이 달라도 틀린것은 아니다. 대부분 36개월 까지는 부모의 의견이 옳다. 그러나 부모가 결정하는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아이들은 원하는 것이 안될 떄 운다. 말을 배우는 시기에 말장난을 하는데, 아니야, 싫어 를 자주하며 돌쯤부터 시작된다. 아이 성장 때 기어다니는 시기 중요하다. 인지능력이 확장된다. "아니야"를 하면 자유의지가 발동한다. 그럴 땐 우리 아이가 똑똑해졌구나 하면 된다. 아니야라는 반응은 동물적인 반응이라 부모가 힘들 수 있다. 아이 눈에서 보면 짜증을 공감할 수 있다. 1. 36개월 미만이나 36개월 즈음의 아이들의 짜증과 분노는 반드시 이유가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가능하면 아이와 함께) 것만으로도 분노와 짜증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분노와 짜증은 "나는 이것을 원해요", 또는 "내가 결정하고 싶어요"라는 자신의 의지를 표현하는 방법이니까요... 2. 아이를 협박하는? 아이에게 부모 말에 순종하지 않았을 경우의 결과를 알려주는 것을 위협하듯이 한다면 협박이 될 수 있겠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협박은 최후의 수단입니다. 가능하면 사용하지 마세요. 효과가 오래가지 않으며 그 후유증은 매우 크니까요... 이것보다는 예방하거나 아이에게 부탁해보세요. 엄마를 도와달라고... 2-1) 예방책은 아이에게 미리 예고하는 것입니다. 이제 잠시 후에 엄마와 나갈 것이라고... 2~3 번 이상 예고함으로써 아이 스스로 맘의 준비를 하도록 해주세요. "아.. 조금 있으면 나가야 하는 구나'라를 예상할 수 있도록 2-2) 우리 아이들은 다른 사람이 힘들 때 위로하고 싶어하고 도와주고 합니다. 천성적으로... 그래서 이 상황에서 엄마나 아빠가 무엇이 힘든지 이야기하고 도움을 청하면 의미는 잘 모르더라도 감정적으로 공감이 되어 순응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엄마 오늘도 늦으면 회사에서 엄마가 힘들 수도 있어" 또는 "엄마는 지금 빨리 나가야 하는데... 엄마를 위해 빨리해 주면 고맙겠다"라고... 그리고 반드시 아이의 협조에 고맙다고 인사해 주세요. == 2강 : 떼 부리기 == |
See Also: [[이근 교수 육아글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