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시간의 재발견. 제3장. 심적 표상 이해하기
의욕보다 중요한 연습의 '방법'
체스 마스터의 미스터리한 초능력?
어쨌거나 절대적인 시간은 필요하다
‘의식적인 연습’으로 뇌에서 정확히 무엇이 바뀌는가? 바로 심적 표상이다. 전문가와 비전문가를 구분 짓는 핵심은, 전문가는 다년간의 연습으로 뇌의 신경조직망이 바뀌어 고도로 전문화된 심적 표상을 만들 수 있고, 이런 심적 표상 덕분에 놀라운 기억력, 패턴 인식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이외에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 위해 필요한 고도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심적 표상이 정확히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당연히 ‘심적 표상이라는 개념에 관한 좋은 심적 표상’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앞에서 말한 ‘개’에 관한 심적 표상을 개발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알아갈 ‘시간’을 갖는 것이다. 곁에 두고 털을 쓰다듬고, 작은 머리를 토닥거리고, 재주 부리는 모습을 지켜보며 개에 관한 심적 표상을 만든 것처럼, 약간의 시간을 들여 익숙해지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패턴 인식과 반응
거의 모든 영역에서 전문가가 보여주는 특징은, 심적 표상을 충분히 발전시키지 못한 사람에게는 아무런 규칙이 없는 것처럼 보이거나 뭐가 뭔지 혼란스러울 뿐인 조합 안에서 패턴을 인식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즉 모든 사람이 나무만 보고 있을 때 전문가는 숲을 본다.
축구를 예로 들어보자. 축구에 문외한인 사람이 축구 경기를 보면, 공이 가까이 있을 때마다 몇몇 선수가 공을 향해 몰려든다는 빤한 사실 말고는 어떤 패턴을 찾기 힘들다. 때문에 팀마다 11명의 선수가 아무런 패턴 없이 이리저리 움직이는 모습이 정신없이 혼란스러울 뿐이다. 그러나 축구 경기를 알고 좋아하는 사람, 특히 축구를 잘하는 사람에게는 이런 모습이 전혀 혼란스럽지 않다. 그들에게는 그것이 선수들이 공과 다른 선수들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움직이면서 만들어내는, 참으로 미묘하면서도 끊임없이 변하는 패턴이다. 훌륭한 선수는 미묘하게 변하는 패턴을 거의 즉각적으로 인식하고 반응한다. 그리고 상대 팀의 약점이나 틈새가 드러나는 순간 기회를 놓치지 않고 파고든다.
다시 말해 경험 많은 암벽 등반가들은 자신이 보는 핸드홀드 각각에 어떤 그립이 필요한지를 의식적으로 생각하지 않아도 알 수 있게 해주는 심적 표상을 발전시켰다. 나아가 연구자들은 경험 많은 암벽 등반가가 특정 핸드홀드를 보는 순간, 뇌가 손으로 신호를 보내 그에 상응하는 그립을 준비하게 한다는 것도 밝혔다. 여기에도 역시 의식적인 생각이 작용하지 않았다. 반면에 경험이 적은 암벽 등반가는 각각의 핸드홀드에 맞는 그립을 의식적으로 찾아내야 했다. 이처럼 심적 표상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핸드홀드를 분석하고 맞는 그립을 찾는 능력 덕분에 경험 많은 암벽 등반가들은 경험이 적은 사람에 비해 추락 위험은 줄이고 속도는 높이면서 암벽 등반을 즐길 수 있다. 여기서도 역시 심적 표상이 발달할수록 수행능력이 좋아졌다.
나에게는 어려운 내용이 다른 사람에게는 쉬운 이유
방금 살펴본 전문가들이 심적 표상에서 얻는 핵심 이점은 정보 처리를 도와주는 방식에 있다. 말하자면 심적 표상은 정보를 이해하고, 해석하고, 기억에 저장하고, 조직하고, 분석하고, 그것을 활용해 올바른 결정을 내리도록 도와준다. 다른 모든 전문가들에게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우리들 대부분은 스스로가 알든 모르든 무언가에 전문가들이다.
의사처럼 생각하라
심적 표상 수정하기
전문가는 어떻게 심적 표상을 사용하는가
신체 활동도 결국은 정신과 연결된다
-- 1만 시간의 재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