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revisions 1 and 5 (spanning 4 versions)
Revision 1 as of 2021-03-26 02:55:22
Size: 151
Editor: 정수
Comment:
Revision 5 as of 2021-03-26 02:58:32
Size: 2387
Editor: 정수
Comment:
Deletions are marked like this. Additions are marked like this.
Line 3: Line 3:
== 2. 선행연구 검토 ==

하지만 현실의 노동시장은 불완전경쟁시장이어서 완전한 계약을 체결할 수 없고, 모든 임금지급방식은 한계를 갖기 마련이다.

시간급은 측정과 관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주인-대리인 문제와 태만(도덕적 해이) 문제가 발생하고 감독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성과급은 노동자들의 임금과 성과(산출)가 연동되기 때문에 감독비용이 적게 들고, 숙련수준이나 동기부여가 높은 사람에게 임금을 많이 주고, 우수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생산과정이 상호의존적이고 보완적인 경우 노동자 개인의 기여도를 식별하거나 성과를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임금에 모든 성과 측면을 반영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예컨대 제품의 수량과 품질 중 수량만 보상하면 품질이 하락하는 등의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개인성과급은 노동자가 받는 임금과 수행한 노동의 양이 엄격히 연계된다는 점에서 최대의 동기부여와 노동자 인센티브를 창출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노동자들 상호간에 협력과 팀워크를 저해하는 등 상당한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다([그림1]의 III). 이에 비해 집단성과급은 개인의 성과와 보상 간의 관계가 느슨하기 때문에 개별 노동자들에게 열심히 일할 유인을 제공하지 못하는 무임승차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임금 지급 방식

||규모||투입(시간) ||산출(성과) ||
||집단||II. 고정상여금(명절상여금)||IV. 성과배분제 / 이윤배분제 ||
||개인||I. 시간당 임금(시급, 월급)||III. 개인성과급 (실적급, 연봉제)||

성과주의 임금제도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서는,

 1. 개인성과급과 집단성과급 모두 긍정
 2. 개인성과급 긍정 집단성과급 부정
 3. 개인성과급 부정 집단성과급 긍정
 4. 개인성과급과 집단성과급 모두 부정

등 4가지 견해로 구분할 수 있다

김유선(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성과주의 임금제도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2017

2. 선행연구 검토

하지만 현실의 노동시장은 불완전경쟁시장이어서 완전한 계약을 체결할 수 없고, 모든 임금지급방식은 한계를 갖기 마련이다.

시간급은 측정과 관리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주인-대리인 문제와 태만(도덕적 해이) 문제가 발생하고 감독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성과급은 노동자들의 임금과 성과(산출)가 연동되기 때문에 감독비용이 적게 들고, 숙련수준이나 동기부여가 높은 사람에게 임금을 많이 주고, 우수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생산과정이 상호의존적이고 보완적인 경우 노동자 개인의 기여도를 식별하거나 성과를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임금에 모든 성과 측면을 반영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예컨대 제품의 수량과 품질 중 수량만 보상하면 품질이 하락하는 등의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개인성과급은 노동자가 받는 임금과 수행한 노동의 양이 엄격히 연계된다는 점에서 최대의 동기부여와 노동자 인센티브를 창출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노동자들 상호간에 협력과 팀워크를 저해하는 등 상당한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다([그림1]의 III). 이에 비해 집단성과급은 개인의 성과와 보상 간의 관계가 느슨하기 때문에 개별 노동자들에게 열심히 일할 유인을 제공하지 못하는 무임승차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임금 지급 방식

규모

투입(시간)

산출(성과)

집단

II. 고정상여금(명절상여금)

IV. 성과배분제 / 이윤배분제

개인

I. 시간당 임금(시급, 월급)

III. 개인성과급 (실적급, 연봉제)

성과주의 임금제도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서는,

  1. 개인성과급과 집단성과급 모두 긍정
  2. 개인성과급 긍정 집단성과급 부정
  3. 개인성과급 부정 집단성과급 긍정
  4. 개인성과급과 집단성과급 모두 부정

등 4가지 견해로 구분할 수 있다


CategoryManagement

성과주의 임금제도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last edited 2021-03-27 09:56:42 by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