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이와 역전이
전이는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
투사
전요섭, 상담자의 성 행동과 기독교상담윤리규정의 한계 및 대안
실제적으로 Kitchener와 Anderson은 상담자가 성 행동을 하기 전에 나타나는 현상들을 분석, 제시했는데 이를 위험 신호로 인식하고 참고하는 것은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특정 내담자와 상담시간을 더 길게 잡는 것
- 동료상담자가 없는 시간대에 특정 내담자와 상담시간을 잡는 것
- 늦은 시간대에 특정 내담자와 상담하고 함께 퇴근하는 것
- 특정 내담자와 전화통화를 빈번하게 하거나 통화가 길어지는 것
- 특정 내담자에게 상담자의 자기개방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
- 특정 내담자에게 상담비용을 감해주는 것
- 특정 내담자와 식사시간에 상담을 하는 것
-- Kitchener & Anderson, "Foundations of Ethical Practice, Research & Teaching in Psychology & Counseling" 252.
PeterMisgofian & George Ohlschlager는 이에 대하여 아래 등으로 분석했다.
- 지나친 개인비밀이 많은 경우
- 냉담
- 완고하고 경건한 체하는 도덕적 태도
- 배우자 외의 사람들과 일상적인 교제
- 배우자와 가족에 대한 친밀감 부족
- 일차선적 인생방식 (도움을 주는 역할 외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경우)
- 일 중심적 경향
- 성적인 위험을 소홀히 하고 가정방문과 다른 만남에 기꺼이 참여
- 동료의 충고 무시
Collins는 상담자가 성 문제를 야기하게 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에 대하여 아홉 가지를 제시했다.
- 정서적, 성적 욕구가 다른 곳에서 해소되지 않는다
- 결혼의 친밀감이 빈약하다
- 성적 환상이 자주 일어난다
- 내담자를 돕는 것 외에 다른 외적인 활동이나 흥미가 없다
- 일중독 성향이 있다
- 상담자가 동료들로부터 소외되어 있는 고립된 성향의 사람이다
- 또래집단의 상호책임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여긴다
- 상담자가 자신의 성에 대해 비밀스런 고통과 갈등이 있다